IMMERSIVE MUSIC EXPERIENCE

사운드, 영상, 빛이 직조하는 감각의 무대

음악은 희미한 경계를 넘어 우리 안의 기억과 바람을 깨운다.

그림자에 머문 시간은 지나, 이제 우리는 빛을 향해 나아간다.

Musicscape – At the Edge of Shadow 포스터
Program

From Here to Everywhere

카드를 눌러 곡 설명을 확인하세요.

숲

숲에 들어설 때마다 나무들은 저마다의 자리를 지키며 선명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특히 소나무와 잣나무 숲 사이로 스며드는 빛과 바람, 솔잎의 향기는 언제나 마음을 맑게 한다. 이 곡은 그런 숲의 풍경을 통해 ‘자신의 자리를 묵묵히 지켜내는 이들의 삶’을 음악으로 비춘 작품이다. 2022년 기타 독주로 발표되었으며, 이번 무대에서는 바이올린과의 이중주로 연주된다.

탭하여 닫기 ✕
바다, 산
바다, 산

산을 오르는 길은 늘 오르막과 내리막, 고요와 험난함이 교차한다. 짙은 그늘을 지나 다시 빛을 마주하는 순간, 인간은 자연의 풍경 속에서 자신의 삶을 비춰보게 된다. 이 곡은 그런 산행의 여정을 음악으로 옮긴 작품이다. 기타의 선율은 산길의 오르막과 내리막을 지나 정상에서 마주하는 빛을 노래하며, 삶의 굴곡 끝에 피어나는 성취와 희망을 상징한다. ‘바다’는 끝없이 반복되는 파도의 리듬을 따라 흐르는 곡이다. 파도는 매번 같은 자리로 밀려오지만, 그 울림 속에는 다채로운 빛깔의 위로가 숨어 있다. 오래 바라보고 있으면 어느새 한 가지 진실만을 고요히 되뇌는 듯하다. 끊임없이 다가오고 물러서는 파도의 숨결은, 삶을 버텨내는 우리에게 변치 않는 어떤 답을 속삭이며 마음을 다독인다. 두 곡은 여행과 일상에서 얻은 풍경을 음악으로 번역한 연작 ‘음악적 풍경(Musicscape)’의 일부로, 자연 속에 깃든 시간과 인간의 삶을 서정적으로 비춘 작품이다.

탭하여 닫기 ✕
서(書)
서(書)

이 곡은 서예의 호흡과 필법,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정신에서 출발한다. 각 섹션은 붓의 획이 이어지듯 변화하면서도 끊김 없이 이어지며, 다양한 주법은 먹의 농담과 필선의 기세를 음악으로 번역한다. 〈서〉는 작곡가 최인이 과거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린 기획전 최치원전에 참여하며 탄생했다. 그는 여러 분야 예술가들과 함께 최치원의 삶과 정신을 연구하고 답사한 뒤, 각자의 작품을 선보였고, 그 과정에서 이 곡을 완성했다. 서예라는 우수한 우리 문화에 대한 헌정이자, 동시에 최치원의 삶과 정신을 담아낸 작품이다. 글을 쓰기 전 호흡을 가다듬고 마음을 곧게 세우는 선비들의 태도에서 깊은 감동을 받아, 이를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곡 속에는 우리 전통문화의 깊은 정신성과 그것을 알리고자 하는 작곡가의 열망이 깃들어 있다.

탭하여 닫기 ✕
가던길
가던길

나그네가 길 위에서 만나는 풍경과 사람들, 그리고 다시 떠나야 하는 순간에서 영감을 얻은 곡이다. 여정은 경기에서 정선, 태백과 삼척으로 이어지지만, 이 길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삶 그 자체의 은유이기도 하다. 만남과 이별, 기쁨과 슬픔, 삶의 희로애락이 길 위에서 교차한다. 메나리조 선율은 각 지역의 정서를 담아 흘러가며, 그 선율 속에서 여행길은 인생의 궤적처럼 깊이를 더한다. 피리와 기타의 대화는 서로 다른 세계가 만나 부딪히고 어우러지며,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순간에 새로운 울림을 만들어낸다. 이 곡은 나그네가 걸어가는 길이 결국 우리의 삶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익숙한 듯 낯선 선율은 관객에게 자기 삶의 여정을 비추어 보게 하고, 음악 속에서 잔잔한 위로와 깨달음을 남긴다.

탭하여 닫기 ✕
석풍수
석풍수

건축가 이타미 준(유동룡)의 제주 건축 작품 〈석풍수〉에서 받은 인상으로 작곡된 곡이다. 하늘과 땅, 인간을 잇는 ‘천지인(天地人)’의 사상과 제주의 바람·돌·물의 요소가 건축에 스며든 장면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 곡은 건축이 품은 철학과 공간을 직접 체험한 감각을 음악으로 전환한 작품이다. 기타의 울림은 바람과 돌, 물의 감각을 담아내며,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건축가와 음악가의 따뜻한 마음이 만나 하나의 서정적 풍경으로 그려진다. 클래식기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쓰인 이 곡은 연주 기법적으로도 완성도가 높으며, 기타의 울림을 통해 제주의 풍경과 건축, 그리고 인간의 정신이 교차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탭하여 닫기 ✕
DAWN
DANW

새벽의 첫빛이 어둠을 스미듯 밀어내며 공간을 물들이는 순간을 그린 곡이다. 긴 정적 속에서 서서히 살아나는 리듬과 선율은 하루의 시작, 그리고 마음의 각성을 상징한다. 잔잔하지만 단단한 에너지가 곡 전체를 이끌며,조용한 여명 속에서 다시 한 번 스스로를 일으켜 세우는 힘을 노래한다.

탭하여 닫기 ✕
공간 1,2,3
공간 1,2,3

‘공간’은 물리적 장소가 아니라 감정이 숨 쉬고 사유가 머무는 내면의 자리를 뜻한다. 2016년에 시작된 이 연작은 이번 공연에서 기타, 바이올린, 첼로의 삼중주로 새롭게 편곡되어 선보인다. 1악장은 자유로운 흐름 속에서 움직임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2악장은 내면의 회복과 감정의 확장을 통해 깊이를 더한다. 마지막 3악장은 변화와 성장의 완결로 닫히며, 세 악장은 서로 다른 결의 정서가 하나로 이어지는 감정의 지형도를 완성한다. 섬세한 음색과 여백의 울림이, 우리 안의 고요한 ‘공간’을 깨운다.

탭하여 닫기 ✕
Who am A.I.
Who am A.I.

Who am I? Who am A.I.? 인간과 인공지능이 서로를 비추는 시대, 이 곡은 그 경계에서 태어났다. 입체음향과 전자적 질감이 교차하며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흐려지고, 그 안에서 악기들의 숨결은 인간만이 지닌 불완전함과 따뜻함을 들려준다. 인간과 기술이 서로의 거울이 되어가는 시대의 정체성 혼란을 드러내며, 기술이 인간을 닮아갈수록, 인간다움의 본질은 무엇으로 남는가… 그 물음에 대한 음악적 사유가 이 곡의 중심에 놓여 있다.

탭하여 닫기 ✕
그림자의 경계에서
그림자의 경계에서

빛과 어둠이 맞물리는 경계의 순간, 우리는 그 어딘가에 서 있다. 삶의 불안과 내적인 갈등 속에서 음악은 중심을 잡고 의미를 찾아 나서며, 점층적으로 고조되는 리듬과 울림은 거대한 파도를 헤치며 다시 빛을 향해 나아가는 인간의 의지를 그려낸다. 이 곡은 불확실한 경계의 시대를 걸어가며, 빛을 향해 나아가는 모든 이들을 위한 응원의 노래다.

탭하여 닫기 ✕
Bluehour
Bluehour

해가 저물고 완전한 어둠이 오기 전, 세상이 푸른 빛으로 물드는 찰나의 시간. 모든 색이 머물다 사라지는 그 순간, 음악은 빛의 마지막 숨결을 따라 고요히 스며든다. 하루를 돌아보며 감사와 평온을 느끼게 하는 사색의 노래.

탭하여 닫기 ✕
Artists
최인

최인 Composer, Guitarist

기타리스트 겸 작곡가 최인은 한국에서 다수의 콩쿨에서 입상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고 벨기에로 유학, 레멘스인스튜트(Lemmensinstituut)에서 석사학위를 그리고 독일 로스톡 국립음대(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Rostock)에서 콘체르트엑자멘 과정을 만점으로 졸업하였다. 독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실내악과 독주활동을 펼쳐왔으며 서울대 현악합주, 원주시향, 부천신포니에타, 인천시향과의 협연 및 다수의 독주회, 라디오 출연, 드라마 OST 작곡 및 연주, 피에스타 기타 앙상블, 기타 쿼텟 Imagine, 듀오 카프리치오소의 리더로 활동해왔다. 또한 세종솔로이스츠와 서울시향의 객원 연주자로 무대에 오르며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왔다. 다양한 레퍼토리와 학구적이고 감성적인 그의 연주는 유럽과 한국에서 많은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또한 다양한 동시대적 주제들을 가지고 꾸준히 기타 독주와 실내악곡들을 창작·연주해 가고 있으며, 영상·인터랙티브 그래픽·프로젝션 맵핑 등을 활용하여 음악과 표현의 영역을 더욱 확장해가고 있다.
유현수

유현수 피리

국립국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석사·박사 과정을 모두 마쳤다. 국가무형문화재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이자 ‘종묘제례악’ 전수자로, 전통음악의 품격을 전승하는 동시에 현대적 감각으로 관객의 마음을 울린다. 제68회 조선일보 신인음악회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무대와 오스트리아, 헝가리, 독일, 카메룬, 일본 등에서 초청 공연을 통해 피리의 존재감을 세계에 알렸으며, 현재 수원대학교 국악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재린

박재린 Violin

예원·서울예고와 연세대 음악대학을 졸업 후, 독일 쾰른 국립음대에서 전문연주자과정과 솔로·실내악 석사를 졸업했다. 한국일보·스트라드·성정 콩쿠르 등 다수의 국내외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주목받았고,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을 비롯한 주요 무대에서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여러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현재 서울 네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안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움 챔버오케스트라의 악장이자, 린트리오 및 로드 앙상블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상명대, 숭실대, 경기예고 등에 출강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박기흥

박기흥 Cello

첼리스트 박기흥은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영재원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그네신 국립음악원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슬라브 국제 콩쿠르 첼로 부문 1위를 수상하고, 모스크바 필하모닉 비상임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성남시향, 원주시향, 인천시향의 객원 연주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중국 베이징 소재 음악학교에 출강 중이다. 중국 SSR Music Entertainment 소속 아티스트로,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Creative Team
연출, 음악감독
최인
기술감독
이장용 (주)달하
음향디자인, 음향감독
이수용
영상디자인, 영상감독
이뿌리
조명디자인, 조명감독
최예원
무대감독
신재경 (주)달하
조연출
이미리
영상 촬영·제작
DAN 최영광
제작·홍보
피셔인젤 예술기획

Tickets

전석 50,000원 · 예술의 전당 · NOL 티켓
예매
Discounts
💳회원할인
등급별상이
예술의전당 회원할인
증빙:예매 페이지 참조
조기예매
30%
~ 2025.10.31 예매 시
증빙: -
🧑‍🎓청소년
30%
전국 초,중,고등학생
증빙: 신분증/학생증
장애인
50%
등록 장애인 (보호자 1인 포함 가능)
증빙: 장애인등록증
🎖️국가유공자
50%
국가유공자 및 유족
증빙: 유공자증/유족증
🏃‍♀️릴레이티켓할인
50%
최인기타리사이틀 10월공연 관람자
10월 최인기타리사이틀 공연티켓
🪄수능수험생할인
50%
2026수능수험생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본인수험표
🎭예술인
20%
예술인패스 소지자
증빙: 예술인패스
👥단체할인
30%
10인 이상(기획사 문의)
문의: 070-4220-3287 / 카카오톡 피셔인젤 예술기획
Notice
  • 모든 할인은 실 관람자 기준 적용, 중복 적용 불가
  • 할인 대상 본인이 직접 증빙 후 수령(대리 수령·양도 불가)
  • 증빙자료 미지참 시 정가 대비 차액 지불
  • 공연 당일 취소/변경/환불 및 현장 할인율 변경 불가
Venue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대표전화 02-1668-1352

지하철 이용
  • 3호선 남부터미널역 5번출구
  • 1) 도보이동 (약5~10분 소요)
  • 2) 마을버스 22번(초록색)을 타고 두 정거장 이동
  • 2호선 서초역 3번출구
  • 1) 마을버스 11번(초록색)을 타고 네 정거장 이동
  • 4호선 사당역 1번출구
  • 1) 마을버스 17번(초록색)을 타고 16개 정거장 이동
버스 이용
  • 간선 406,405
  • 지선 5413
  • 직행 1500-2, 1553
  • 마을 서초11, 서초17, 서초22
주차안내
  • 예술의전당 주차 요금, 위치, 할인 혜택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